맨위로가기

라미아 (도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미아는 기원전 5천 년경부터 사람이 거주한 도시로, 고대에는 테르모필레를 통제하는 전략적 요충지였다. 마케도니아의 지배, 라미아 전쟁 등을 거치며 아이톨리아 동맹의 번영을 누렸으나, 로마 공화정에 점령당하며 쇠퇴했다. 1446년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었고, 1829년 그리스에 편입되어 1881년까지 국경 도시였다. 현재는 그리스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라미아 성, 엘레프테리아 광장 등의 랜드마크가 있으며, 축구, 배구 등 다양한 스포츠 클럽이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미아 - 라미아 전쟁
    라미아 전쟁은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아테네를 중심으로 그리스 도시 국가들이 마케도니아의 지배에 대항하여 벌인 전쟁으로, 아테네가 패배하여 굴복하고 가혹한 처벌을 받았다.
  • 프티오티다현 - 로크리스
    로크리스는 고대 그리스의 부족 및 지역 이름으로 오졸리안, 오푼티안, 에피크네미디안 로크리스로 나뉘며, 일부는 이탈리아에 식민 도시를 건설하기도 했고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교전하기도 했으며, 로크리스 현은 과거 프티오티스 현의 하위 행정 구역이었다.
  • 프티오티다현 - 에우보이아만
    에우보이아만은 에게해에 위치하며 에우보이아 섬과 그리스 본토 사이를 흐르는 만으로, 고대부터 중요한 해상 교통로로 이용되었고, 현재는 그리스의 중요한 해역이다.
  • 그리스의 주도 - 아테네
    아테네는 그리스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서구 문명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아크로폴리스와 다양한 교통 시스템을 갖춘 관광 도시이다.
  • 그리스의 주도 - 파트라
    파트라는 그리스 아카이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서그리스의 중심지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시대의 지배를 거쳐 풍부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그리스 독립 전쟁의 중요한 무대였고 현재는 문화 유적과 현대 도시의 모습을 갖춘 그리스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이다.
라미아 (도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일반 정보
로마자 표기Lamía
행정 구역
국가그리스
지역중앙그리스
프티오티다 현
자치체라미아
지리
해발 고도100m
면적 (전체)947.0 km²
면적 (시)413.5 km²
인구
총 인구 (2021년)66,657명 (자치체)
총 인구 (2021년)58,289명 (시)
총 인구 (2021년)47,529명 (커뮤니티)
정치 및 행정
시장파누르기아스 파파이오안누
시장 취임2023년
기타 정보
우편 번호351 00
지역 번호22310
차량 번호판 코드ΜΙ
웹사이트라미아 공식 웹사이트
이미지
라미아 몽타주. 그림 속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문서로 이동함.
"시계 방향으로 위에서부터: 라미아 시의 파노라마 뷰 (라미아 성에서 촬영), 아타나시오스 디아코스 동상, 라미아 시내의 엘레프테리아 광장, 중앙 그리스 행정부 청사, 라미아 성."

2. 역사

라미아는 기원전 5천년 경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지만, 기원전 424년에 지진이 발생한 이후 역사에 처음 등장한다. 당시 라미아는 스파르타의 중요한 군사 기지였다. 이후 마케도니아 왕국의 알렉산드로스 3세(대왕)에게 정복당했지만,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아테네를 비롯한 그리스 도시 국가들은 마케도니아 왕국의 지배에 반발했다. 이로 인해 라미아 전쟁이 발발했고, 마케도니아 왕국의 장군 안티파트로스는 라미아로 피신했다. 라미아 전쟁은 아테네 장군 레오스테네스가 죽고 2만 명이 넘는 마케도니아 왕국 군대가 라미아에 도착하면서 끝났다. 이후 라미아는 아이톨리아 동맹의 통치를 받으며 기원전 3세기에 번영했다. 그러나 기원전 190년 로마 공화정의 집정관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가 라미아를 점령하면서 번영기는 막을 내렸다.[4]

1446년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어 1829년 그리스 영토가 될 때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881년까지는 국경 도시였다.

2. 1. 고대

기원전 5천년 경부터 사람이 살고 있었지만, 기원전 424년에 지진이 일어난 것을 계기로 처음 언급된다. 당시 라미아는 스파르타의 중요 군사 기지였다.[4]

이후 마케도니아 왕국의 알렉산드로스 3세(대왕)에게 정복당했지만,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아테네와 그리스의 다른 폴리스들은 마케도니아 왕국의 지배에 반발했다. 이때 마케도니아 왕국의 장군 안티파트로스는 라미아 마을로 피신했다. 기원전 323년부터 기원전 322년까지 벌어진 라미아 전쟁은 아테네의 장군 레오스테네스의 죽음과 20,000여 명의 마케도니아 왕국 군대가 라미아에 도착하면서 끝이 났다.[4] 그 후, 특히 아이톨리아 동맹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기원전 3세기에 라미아는 번영했다. 그러나 기원전 190년에 로마 공화정의 집정관이었던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가 라미아를 점령하면서 번영은 끝났다.[4]

2. 2. 중세

기원전 5세기에 도시가 요새화되었으며, 기원전 2세기 초 로마 공화국의 정복 전까지 마케도니아인, 테살리아인 및 아이톨리아 동맹의 경쟁 대상이었다.[4]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사망한 후 아테네와 다른 그리스인들은 마케도니아의 지배에 반란을 일으켰다. 마케도니아의 섭정 안티파트로스는 도시의 상당한 성벽 (라미아 전쟁, 기원전 323-322년) 뒤로 피신했다. 이 전쟁은 아테네 장군 레오스테네스의 죽음과 20,000명의 마케도니아 군대의 도착으로 끝났다. 그 후 라미아는 번영을 누렸으며, 특히 기원전 3세기에 아이톨리아의 헤게모니 아래 번영을 누렸지만,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가 기원전 190년에 도시를 약탈하면서 그 종말을 고했다.

그 후 수 세기 동안 도시의 역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후기 고대 시대에 이 도시는 주교의 자리였으며 (431년부터 기록됨), 라리사 대교구의 보좌 주교였다. 하지만 쇠퇴하여 잊혀졌다. 7세기에 이 도시는 슬라브족에 의해 점령되었으며, "곡물"을 의미하는 슬라브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는 ''제투니온'' (Ζητοῦνιον)이라는 이름으로 869/70년에 다시 나타났다.[4] 이 도시는 테르모필레 근처에 위치했기 때문에 10세기 말의 비잔틴-불가리아 전쟁에서 다시 한 번 역할을 했다. 니케포로스 우라노스 비잔틴 장군이 997년 스페르체이오스 전투에서 차르 사무일에게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곳이 바로 이 도시 근처였다. 1018년 바실리우스 2세 황제가 그리스를 방문하여 개선했으며, 1165년에는 유대인 여행가 투델라의 벤자민이 이 도시에 50가구의 유대인이 살고 있으며 이웃 블라흐족의 습격을 받았다고 기록했다.

제4차 십자군 (1204년) 이후 이 도시는 프랑코크라티아의 십자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처음에는 템플 기사단에게 봉토로 주어졌으며, 그들은 요새를 재건했다.[4] 1209-10년에 템플 기사단은 테살로니카 왕국의 롬바르드 남작들의 반란을 지지했기 때문에 축출되었다. 라틴 제국의 플랑드르의 앙리는 이 도시 (및 인근 라베니카)를 몰수하여 발리인, 아마도 트라발레의 라이네리오가 지배하는 제국 영토로 만들었다. 프랑크족 통치 하에서 이 도시는 로마 가톨릭 주교의 자리였다. 1218/20년경 또는 1223년 직후에 두 도시는 에피루스 전제국의 그리스인에게 점령되었다.[4] 라미아는 1275년 테살리아 통치자 요안니스 1세 두카스의 딸 헬레나 안젤리나 콤네네의 지참금의 일부로 아테네 공국의 프랑크족에게 다시 넘겨질 때까지 그리스인의 손에 남아 있었다. 따라서 다시 가톨릭 교구가 되었다.

카탈루냐 용병대가 1318년부터 1391년까지 이 도시를 점령했으며, 이후 아차이올리 가문의 아테네 공작에게 넘어갔다. 1394년 오스만 제국 술탄 바예지드 1세에 의해 요새가 파괴되었다. 1402년의 앙카라 전투 이후 약화된 오스만 제국은 제투니온 지역을 포함한 일부 영토를 비잔틴의 지배하에 두도록 갈리폴리 조약에 의해 강요되었다. 튀르크는 1415년 이전 어느 시점에 이 도시를 2년 동안 포위했지만, 비잔틴은 성공적으로 저항했다. 그러나 1424년에서 1426년 7월 사이에 이 도시는 튀르크에 의해 다시 한 번 정복되었다. 1444년 모레아 전제공국의 군대가 도시를 약탈한 공격을 제외하면, 그 후 이 도시는 1832년 독립된 그리스 왕국에 편입될 때까지 오스만 제국의 확고한 통제하에 있었다.[4]

중세 시대에 라미아는 '''지투니온'''(Ζητούνιον/Zetounion)으로 불렸으며, 869년에 열린 제8차 기독교 공의회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1204년 라틴 제국이 지투니온을 점령한 후, 이 도시는 '''지르투니온'''(Zirtounion), '''지토니온'''(Zitonion), '''지르통'''(Girton) (프랑스인 지배 시), '''엘 시토'''(El Cito) (카탈루냐인 지배 시)라는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2. 3. 오스만 제국 시기

1446년 라미아는 오스만 제국의 통치하에 들어갔다.[4] 오스만 제국 시기에는 '''이즈틴'''(Iztin)이라고도 불렸다. 1829년 그리스 왕국에 편입될 때까지 오스만 제국의 확고한 통제하에 있었다.[4] 1881년 콘스탄티노플 조약에 의한 테살리아 병합 전까지 라미아는 국경 도시였으며, 국경은 라미아 바로 북쪽에 있는 "타라차"라는 곳에 있었다.

2. 4. 근대

기원전 424년 지진 발생 이후 처음으로 역사에 등장했으며, 당시 스파르타의 중요한 군사 기지였다.[4] 이후 마케도니아 왕국의 알렉산드로스 3세(대왕)에게 정복되었으나,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아테네를 비롯한 그리스의 여러 폴리스들이 마케도니아 왕국의 지배에 반발하였다. 이때 마케도니아 왕국의 장군 안티파트로스는 라미아로 피신하였고, 기원전 323년부터 기원전 322년까지 벌어진 라미아 전쟁은 아테네의 장군 레오스테네스의 죽음과 2만여 명의 마케도니아 왕국군 도착으로 종결되었다.[4] 이후 라미아는 아이톨리아 동맹의 지배하에 있었다.

기원전 3세기 라미아는 번영하였으나, 기원전 190년 로마 공화정의 집정관 마니우스 아킬리우스 글라브리오가 점령하면서 번영이 끝났다.[4] 1446년 오스만 제국에 편입되었으며, 1829년 그리스 영토가 되었고 1881년까지 국경 도시였다.

3. 지명

한 기록에 따르면, 이 도시는 포세이돈의 딸이자 트라키니아의 여왕인 신화 속 인물인 라미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고 한다. 다른 설에 따르면, 주변 지역의 주민인 말리아인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고 한다. 중세 시대에 라미아는 '''제투니온'''(Ζητούνιον)으로 불렸으며, 이 이름은 869년 제8차 에큐메니컬 공의회에서 처음 등장한다. 프랑크 통치 아래에서는 제4차 십자군 이후 '''기르톤'''으로 불렸고, 용병 단체인 카탈루냐 용병대의 통치를 받으면서는 '''엘 시토'''로 불렸다. 튀르키예어에서는 때때로 '''이즈딘''' 또는 '''이즈제딘'''이라고 불렸다.[2] 이 도시는 또한 제이툰으로도 알려져 있었다.[3]

4. 지리

라미아는 지중해성 기후와 습윤 아열대 기후의 영향을 받아 여름이 덥다. 겨울, 봄, 여름, 가을의 사계절이 뚜렷하며, 10월 말부터 4월 중순까지는 춥고 습하고, 4월 중순부터 10월 말까지는 따뜻하고 건조하다.

4. 1. 기후

라미아는 뚜렷한 건조 기후가 없는 지중해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sa'')에 습윤 아열대 기후(''Cfa'')의 영향을 받는, 여름이 더운 기후를 보인다. 겨울, 봄, 여름, 가을의 4계절이 뚜렷하다. 춥고 습한 기간은 10월 말부터 4월 중순까지 지속되며, 따뜻하고 적당히 건조한 기간은 4월 중순부터 10월 말까지이며, 그 사이에는 과도기적 단계가 있다. 라미아에서 기록된 역대 최저 기온은 2001년 12월에 기록된 -12.6°C이고, 역대 최고 기온은 1973년 여름에 기록된 46.5°C이다.[6]

다음은 중앙 그리스 라미아 공항(해발 143.4m)의 1991-2020년 평균 기온 및 극한값(강수량은 1970-2010년) 자료이다.[7] 강수량 자료는 HNMS에서 제공되었다.[8]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최고 기온 기록 (°C)25.026.734.235.337.644.646.545.440.437.330.028.0
평균 최고 기온 (°C)12.313.816.921.126.731.833.733.429.223.617.913.1
평균 기온 (°C)7.68.711.214.920.124.726.426.122.317.912.98.8
평균 최저 기온 (°C)3.03.65.78.813.417.519.218.815.512.17.94.6
최저 기온 기록 (°C)-7.0-10.0-6.9-1.03.09.012.612.87.4-1.2-3.6-12.6
강수량 (mm)63.860.759.742.333.319.321.121.323.765.473.272.5


5. 행정

2011년 지방 정부 개혁으로 라미아 시는 다음 5개의 이전 자치 단체가 합병되어 시정 구역이 되었다.[11]


  • 고르고포타모스
  • 라미아
  • 리아노클라디
  • 파블리아니
  • 이파티


자치 단체의 면적은 947.006km2이고, 시정 구역은 413.482km2이다.[12]

라미아 시장은 1881년부터 2023년까지 다음과 같다.[13][14]

1836 - 19161916 - 1945



1945 - 19811981 - 현재


6. 인구

연도지방 자치 단체연간 증가 수연간 증가율
198141,846-
199155,445-+1,360명+28.5‰
200158,601-+316명+5.6‰
201164,71675,315
202158,28966,657


7. 교통

고속도로 1번이 도시 근처를 지나며, 중앙 그리스 고속도로(3번 고속도로)는 라미아 남쪽에서 시작되어 건설 중이다. 시외버스 KTEL 터미널은 라미아를 오가는 환승 서비스를 제공한다.[9]

라미아 시의 도시 KTEL은 라미아 시정부의 아파트 및 주거 지역의 교통을 담당한다. 또한 라미아에는 여러 택시 승강장이 있다. 시내 택시는 빨간색이다. 그 외에도 라미아 내에는 자전거 도로가 운영된다.

라미아는 레아노클라디와 스틸리다로 운행하는 지역 열차 노선이 있는 람타 역을 통해 철도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10]

라미아 공항은 구 라미아-아테네 국도에서 2km 거리에 있다. 공항은 공군 소속이며 상업 또는 여객 운송은 없다. 비상 상황에 사용되며, 프티오티다 항공 클럽에서도 활동에 사용한다.

8. 스포츠

라미아 연고 스포츠 클럽
클럽설립스포츠업적
라미아 FC1964축구수페르리가 출전
G.S. 라미아스 아킬레우스1976배구A1 에트니키 출전
이오니코스 라미아스 B.C.1992농구과거 A2 에트니키 출전
니레아스 라미아스1998수구A1 에트니키 출전



라미아에는 상위 국가 리그에서 활동하는 스포츠 클럽이 있다. 한 시즌 동안 라미아는 아테네 농구 클럽 파넬리니오스 B.C.를 유치하기도 했다.

9. 출신 인물


  • 아타나시오스 디아코스 (1788–1821):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의 그리스군 지휘관. 라미아에서 사망.[1]
  • 디미트리오스 지아치스 (1891–1964): 군 장교.[1]
  • 요안니스 파파로두 (1904–1941): 군 장교.[1]
  • 아리스 벨루치오티스 (아타나시오스 클라라스의 가명, 1905–1945): 제2차 세계 대전 게릴라 레지스탕스 지도자 (그리스 인민 해방군).[1]
  • 일리아스 치리모코스 (1907–1968): 정치인, 전 그리스 총리.[1]
  • 타노스 레이바디티스 (1934–2005): 배우이자 시나리오 작가.[1]
  • 디미트리스 쿠추우바스 (1955년 출생): 그리스 공산당 사무총장.[1]
  • 니키 바코야니 (1968년 출생): 높이뛰기 선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1]
  • 크리스토스 스타이쿠라스 (1973년 출생): 경제학자, 정치인, 신민주당 경제 담당 코디네이터, 재무부 장관.[1]
  • Ευγενία Δημητροπούλου|에브게니아 디미트로풀루el (1984년 출생): 배우.[1]
  • 앨리스 벨키오티스 (1905–1945): 그리스 내전 당시의 그리스 인민 해방군(ELAS) 지도자.[1]

10. 자매 도시

라미아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5][16]


11. 랜드마크


  • 라미아 성: 도시의 요새화된 아크로폴리스이다.
  • 엘레프테리아스 광장(자유 광장): 도시 독립 기념일 퍼레이드가 열리는 장소이자 주요 대성당이 있다. 또한 야외 좌석이 있는 많은 카페가 있다.
  • 디아코 광장: 아타나시오스 디아코스의 동상이 있다.
  • 파르쿠 광장
  • 라우 광장(인민 광장): 아리스 벨루치오티스의 동상이 있다.

도시 고고학 박물관 전시품


1917년 라미아 엽서


엘레프테리아스 광장


소년 조각상. 대리석. 라미아 인근(고대 릴라이아 지역)에서 발견됨. 벌거벗은 소년이 기둥에 기대고 있고, 기둥에는 오리가 눌려 있다. 소년은 머리에 리본을 묶고 있으며 웃는 얼굴은 오리를 향하고 있다. 지역 신 또는 젊은 독재자의 묘사. 기원전 3세기. 아테네 국립 고고학 박물관

참조

[1] 간행물 Municipality of Lamia, Municipal elections – October 2023 https://ekloges.ypes[...] Ministry of Interior
[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postman.c[...] 2011-05-23
[3] 문서 Turkey in Europe http://www.davidrums[...] 1832
[4] 웹사이트 Κάστρο Λαμίας Hellenic Ministry of Culture 2012-07-26
[5] 서적 An inventory of archaic and classical poleis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EMY-Εθνική Μετεωρολογική Υπηρεσία http://www.hnms.gr/h[...] 2011-11-22
[7] 웹사이트 Normales et records climatologiques 1991-2020 à Lamia - Infoclimat https://www.infoclim[...]
[8] 웹사이트 Κλιματικά Δεδομένα ανά Πόλη- ΜΕΤΕΩΓΡΑΜΜΑΤΑ, ΕΜΥ, Εθνική Μετεωρολογική Υπηρεσία http://www.emy.gr/em[...]
[9] 문서 Υπεραστικό ΚΤΕΛ Φθιώτιδας http://www.ktelfthio[...]
[10] 웹사이트 TrainOSE 2013 timetable http://www.trainose.[...] TrainOSE 2013-01-19
[11] 웹사이트 ΦΕΚ A 87/2010,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12]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13] 웹사이트 Διατελέσαντες Δήμαρχοι {{!}} Δήμος Λαμιέων https://www.lamia.gr[...] 2024-01-02
[14] 웹사이트 Municipality of Lamia https://ekloges.ypes[...]
[15] 웹사이트 Αδελφοποιήσεις https://www.lamia.gr[...] Lamia 2020-01-10
[16] 웹사이트 Αδελφοποιημένες Πόλεις http://www.mytilene.[...] Mytilene 2020-01-10
[17]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岩波書店
[18] 웹인용 Climate data for Lamia http://www.hnms.gr/e[...] hnms.gr 2014-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